logo

전국 꽃배달 서비스 www.1001flower.co.kr

식물관리요령

시기별 관엽식물 관리요령 입니다.

관엽식물 관리요령분재 관리요령

동양난 관리요령서양난 관리요령

관엽식물 관리요령

ㆍ햇빛

관엽식물 중에는 햇빛을 잘 쪼이지 않으면 잎이 아름답지 못한 것이 있다. 또 그런 반면에 햇빛이 너무 강하면 잎이 타 버리거나 색이 이상해 지는 것등 여러가지이다. 특히 생육기간 동안에 좋아하는 햇빛을 쪼이면 잎도 충실하고 꽃봉오리는 많이 달린다. 강한 햇빛을 좋아하는 것이란, 늦봄부터 늦 가을까지의 생장기간 동안에 가끔 직사광을 쪼여야 되는 것을 말한다. 겨울에는 유리창 너머의 볕을 쪼여준다.
여린 햇빛을 좋아하는 것은 계절에 따라 햇빛 쪼이는 정도가 다르다. 겨울에는 유리창 너머 봄과 가을에는 레이스커텐너머 정도, 그리고 한여름에는 커텐 두장 너머 정도의 햇빛을 쪼이는 것이 좋다.
약한 햇빛을 즐기는 것은 겨울에도 레이스케텐 너머 정도의 햇빛을 쪼이고 봄, 가을, 특히 여름에는 양을 줄이도록 한다.

ㆍ습도

관엽식물의 원산지를 보면 거의가 중남미, 열대아시아, 아프리카등 더운 지방에서 태어났다.
이러한 지역은 단순히 더울뿐만 아니라 습도도 높은 곳이다. 그러므로 이런 관엽식물은 대륙성 기후인 우리나라에서 키워보면 기온, 습도, 모두 높은 5-9월은 잘 자라고 잎의 색도 매우 아름답다.
그런데 11-2월까지 사이는 저온일 뿐만 아니라 공기도 건조해서 식물도 쇠약해 진다. 건조한 공기에 닿으면 잎이 넓은 관엽식물일수록 잎에서 수분이 많이 증발 된다. 그래도 그것을 보충할 만한 수분을 뿌리에서 흡수할 수 있으면 시들지는 않겠지만 저온기에는 식물이 활발하게 생장하지 못하므로 뿌리도 별로 수분을 흡수 못한다. 그래서 식물은 금방 쇠약해 진다. 습도가 부족할 때에는 흙에 물을 아무리 줘도 안된다. 대책으로는 잎에 분무해서 보호하고 난방기 가까이에 두지 않도록 한다. 난방을 끄고 온도가 내려가면 습도는 자연히 불어난다.
그러므로 잎에 분무를 해주는 것은 난방중일 때 한다.

ㆍ물주기

관엽식물은 물을 즐기는 식물이다. 겨울철 생장이 멈춘 동안에는 그렇게 심하지 않으나 생장기인 여름이 되면 아침에 준 물이 저녁에는 다 말라 버리는 일이 흔히 있는데 항상 윤택한 잎을 유지하려면 물주는 것이야 말로 중요한 일이다. 단, 물은 단순하게 준다는 뜻이 아니라 줄 시간과 양을 정확히 해서 주어야 한다. 표준적인 물주기 방법은 물주는 시간은 될 수 있는대로 오전중이 좋지만 부득이한 때는 저녁에 주어도 상관없다. 저녁에 줄 때는 많이 주면 지나치게 자라므로 주지 않는 것이 좋다.많이 준다는 것은 분 밑으로 물이 흘러 나오는 것을 말한다.
겨울에는 흙 표면이 마른 다음에 주는데 놓아 둔 곳의 온도가 내려갈 것 같으면 금방주지 말고 하루 더 있다 주도록 한다. 기온이 30도가 넘고 관엽식물이 왕성히 자라게 되면 분 밑으로 흡수 시켜도 상관없다. 이것을 "저면 관수"라 한다. 이 물에 묽은 비료를 넣어 주어 영양을 공급할 수도 있다.
단 겨울에 하면 뿌리가 썩는 원인이 되므로 생장기에만 한다.

ㆍ시비

식물이 잘 자라게 하기 위해서는 비료를 적절히 주어야 한다.
관엽식물은 온도가 높아지면 갑자기 자라기 시작하므로 이에 맞추어 비료를 준다. 비료라 하면 곧 어떤 것을 주어야 하는지를 생각하게 되는데 비료 자체 보다는 주는 시기가 더 중요하다. 필요로 할 때는 듬뿍 주고 그렇지 않을 때는 좀 쉬어야 한다. 이렇게 때를 맞추어 비료를 주지 않으면 안된다. 온실없이 관엽을 키울 경우 봄-가을이 생장기이고 겨울은 쉬는 때이다. 비료는 생장기에만 준다. 실제로 비료 줄 때의 주의 점은 그 비료 효과가 어느정도 지속하는가 하는 일이다.
예를 들어 유기질 비료는 잎만 있는 관엽에도,꽃이 피는 관엽에도 효과있는 비료로서 소정량을 주어도 40-60일은 효과가 있으므로 이 기간에는 같은 것은 주지 않도록 한다. 묽게 해서 주는 액비는 7-10일간만 효과가 있으므로 자주 주도록 한다. 화초용 깻묵과 골분 덩어리 비료는 때로 악취가 나는 수도 있으므로 집안에서는 쓰지 않는 것이 좋다. 분갈이 후에는 2-3주 동안은 비료를 주지 않도록 한다. 이때는 엽면시비(잎에 직접 분무)하면 된다.

ㆍ병충해

- 개각충
휘닉스 잎이나 관음죽, 종려죽 잎이나 가지, 고무나무에도 생기는 벌레이다. 주로 늦봄-가을 중순경까지 사이에 많이 생긴다. 작고 흰 알맹이 같고 잘 움직이지 않는다. 한군데 모여서 생기는 것이 특징이다.
치료법은 목장갑을 끼고 문질러 버리거나 부드러운 칫솔로 문지르면 된다. 약을 쓸경우는 "아크테릭", "스미치온", "올트란"등의 1,000배액을 일주일에 1회씩 5-6회 뿌리면 많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 진딧물
칼라디움의 잎뒤, 보스톤과 네프로네피스의 새싹,마란타의 새잎 등 연한 부분에 집중적으로 생긴다. 봄-가을초에 걸쳐서 가장 많고 돋보기 같은 것으로 보면 녹색이나 까만 작은 벌레가 꿈틀 거리는 것이 보인다.
이것이 약을 직접 뿌려서 방제하는데 약은 깍지벌레와 같다. 잎에 뿌릴 때는 될 수 있는 대로 분을밖에 내놓고 바람이 불어가는 방향으로 주도록 한다. 주위에 약이 튀는 것이 우려되면 목욕탕을 이용하는데 창문을 열고 한다.

- 탄소병
고무나무 잎이나 산세베리아의 잎, 아나나스류의 잎에 갈색반점이 생길 때가 있다. 이것이 탄소병이다.
과습하고 고온일 때 생긴다. 치료법은 만네브다이센 수화제의 500배 액을 일주일에 1회 비율로 2-3회 살포한다.
관엽식물은 대부분 열대, 아열대성 식물이므로 고온다습한 환경을 좋아합니다. 따라서 여름철에는 흙이 마르지 않도록 물을 자주 주며, 그외 계절에는 흙 표면이 하얗게 마르면 화분 밑으로 물이 흘러나올 때까지 흠뼉 줍니다. 특히 겨울에는 실내 온도와 비슷한 온도의 물을 주어서 뿌리가 얼지 않도록 해야 하며, 물받침에 고인 물은 바로 비워서 뿌리의 흡을 막지 않아야 한답니다.
흙이 별로 건조하지 않는데도 잎이 시드는 경우는 뿌리가 상한 것이므로 물을 자주 주기보다는 잎에 물스프레이를 하는 것이 좋다. 또한 모든 식물은 광합성을 하므로 적당한 햇빛이 꼭 필요하다. 한여름은 너무 뜨거우므로 50%정도 차광해주는 것이 좋으며, 그 외 계절에는 볕이 잘 드는 곳에 화분을 두는 것이 식물을 건강하게 키우는 비결이다.

ㆍ관엽종류별 관리방법

맛상게나,드라세나 와네끼,행운목, 마지나타 월동온도는 5˚C정도이며 고온다습을 좋아하므로 물스프레이를 자주해준다. 여름철에는 반그늘에 놓고 겨울에는 창가 등 볕이 잘 드는 곳에 놓는다. 물론 조금씩 자주 주는 것보다 흑 표면이 마르면 충분히 주는 것이 좋다.

- 홍콩야자

반그늘에서도 잘 자라며 10˚C정도의 온도에서도 월동을 한다. 간혹 너무 그늘이나 통풍이 안되는 곳에 두어서 잎이 떨어졌을 때는 볕이 잘 드는 곳에 놓고, 흙이 마르지 않도록 물을 준다. 홍콩야자는 잎이 떨어진 자리에서도 새로운 싹을 틔운다. 그러므로 잎이 떨어졌다고 해서 버리지 말고 정성껏 가꿔보자.

- 몬스테리아

여름철엔 반그늘 상태에서 관리하며 충분히 물을 준다. 자주 물스프레이를 해 준다.
겨울에는 8˚C이상이 되도록 주의하고 약한 햇빛을 쬐도록 한다.

- 벤자민/킹벤자민

벤자민과 킹벤자민은 햇빛을 좋아하는 식물이므로 사철 볕이 잘 드는 곳에 두는 것이 좋다.
여름철엔 물을 1~2일에 한 번씩 흠뻑 주는 것이 좋고, 겨울철에는 흙이 마르면 주도록 한다.
고온다습한 것을 좋아하므로 물스프레이를 자주 해준다.

- 고무나무

관리요령은 벤자민과 비슷하다. 하지만 한가지 주의할 점은 강한 햇빛이 있을때에는 물스프레이를 피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때 스프레이를 하면 물방울이 볼록렌즈의 역할을 해 잎에 상처가 나기 때문이다.

- 파키라

파키라는 햇빛을 좋아하므로 볕이 잘 드는 곳에 두고 흙 표면이 마르면 충분히 물을 준다. 잎이 떨어졌어도 줄기가 마르지 않았다면 떨어진 곳에 눈이 있으므로 눈 2~3개 정도 위로 가지를 잘라준다. 그곳에서 예쁜 새싹이 나온다.

- 아레카야자/켄챠야자

사계절 내내 햇빛을 잘 쪼이도록 하면 한여름에만 30~40%차광된 곳에서 관리한다. 실외에 둘 경우 강한 바람을 주의해야 한다. 강한 바람을 맞을 경우 잎이 마를 수 있기 때문이다.

- 도시루

햇빛과 고온을 좋아하지만 3도 이상이면 월동할 수 있다. 너무 건조 해지지 않도록 주의하며, 흙 표면이 마르면 물을 흠뻑 주는 것이 좋다.

- 관음죽

직사광선을 쪼이면 잎이 누렇게 변할 수 있으며, 강한 바람에는 잎이 마를 수 있으므로 밝은 실내에서 관리하는 것이 좋다. 여름철엔 물을 자주 주되, 겨울철에는 흙의 표면이 마르면 물을 준다.

- 소 철

일년 내내 강한 햇빛을 필요로 하며 추위에 강해서 0도이상이면 월동한다. 다만 습기에 약하므로 줄기가 무르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4~9월 사이에만 물을 충분히 주고 나머지 기간에는 건조하지 않도록만 물을 준다. 새잎이 아직 부드러울 때 강한 햇빛을 쪼이면 잎이 상하기 쉬우므로 반그늘에서 잎을 굳힌 다음 볕에 내놓아야 한다.